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내용보기

푸터 내용보기



  • 현재위치
  • Home > 백두대간 > 백두대간개념
  • 백두대간이란?
    • 백두대간 개념
    • 백두대간 형성과정
    • 산줄기 15개 1대간,1정간,13정맥
    1.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
    2. 우리나라 지형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개념
    3. 민족의 성산으로 숭배되어온 백두산으로부터 시작해 원산, 낭림산, 두류산, 마태산, 금강산 등의 북한 땅을 지나 남으로는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 가장 큰 산줄기를 형성하며 물길을 동과 서로 나누는 우리 국토의 골간
    4. 장장 약 1,400km를 단 한 번도 끊어지지 않고 한반도를 연결하는 거대한 줄기
    5. 한반도의 등뼈
    6. 지표 분수계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
    7.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 인식 체계
    •  
    • 가장 좁은 의미의 백두대간 - 종주산행의 노선
    •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지도상의 거리로 백두대간은 1,400km에 달하며, 남한의 백두대간은 지리산에서 진부령까지 약 690km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가장 일반적인 백두대간의 개념은 ‘종주산행노선’의 의미로 가장 좁은 의미를 갖는다.
    • 좁은 의미의 백두대간 - 중심 산줄기
    • 백두산을 뿌리로 하여 원산~낭림산~두류산~분수령~금강산~오대산~태백산~속리산 ~장안산~지리산에 이르면서 한 번도 물줄기에 의해 잘리지 않고 이어져 내리는 큰 산줄기를 의미한다.
    • 넓은 의미의 백두대간 - 중심산줄기와 부속 산지
    • 넓은 의미의 백두대간은 중심산줄기와 이에 부속된 기맥 또는 지맥을 모두 포함한다. 백두대간에서 정간과 정맥이 갈라져 나가듯 정간과 정맥에서도 수많은 갈래가 나뉘어 뻗으며, 백두대간에서도 수많은 갈래가 뻗어 나간다.
      넓은 의미의 백두대간은 나무에서 굵은 줄기만을 잘라내고 기둥줄기에 붙은 곁줄기와 곁가지를 모두 남겨둔 모양으로 비유할 수 있다.
    • 가장 넓은 의미의 백두대간 - 전통적 국토지리 인식체계
    •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이 땅을 산과 강이 어우러져 있는 유기체로 여겨 산의 흐름을 살아있는 나무에 비유, 기둥줄기와 큰 줄기, 그리고 작은 줄기와 곁가지로 나뉘는 것으로 보았다. 또 줄기와 줄기사이, 가지와 가지 사이에 강이 생성되어 흐르는 것으로 이해했다. ‘국토’를 다르게 표현할 때는 산천(山川), 산수(山水), 산하(山河), 강산(江山) 등으로 산과 물을 함께 일컬어 나타냈다. 이때의 백두대간은 나무의 큰 기둥줄기, 작은 줄기, 곁가지를 모두 포함하고, 산줄기를 따라 흐르는 물줄기도 포함하여 국토전체를 의미한다.
맨위로